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방세동에 정의와 증상들 치료법을 알아보자

by 달콤머닝 2024. 4. 24.
반응형

심방세동의 정의

심방 세동은 심장의 심방 부분에서 정상적인 수축이 사라지고 불규칙하게 수축하게 되는 현상으로, 이는 부정맥의 한 형태입니다.

심방세동의 원인

심방 세동은 종종 승모판 질환 같은 판막 문제,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에 의한 심장 질환, 비후성 또는 확장성 심근증(심부전) 및 선천성 심장 질환 등의 기저 심장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만성 폐 질환과도 연관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수술 후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심장의 구조적 이상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나이가 들면서 발병률이 증가하여, 60세 이상에서는 약 1~2%의 사람들이 이 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심방 세동은 종종 음주와 관련이 있으며, 음주 후 그날 저녁이나 다음 날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음주를 중단함으로써 심방 세동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의 증상들

심방 세동은 발작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발작성 심방 세동), 계속해서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만성 심방 세동). 발작성 심방 세동이 발생하면 심계항진 증상이 나타나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불편함을 느끼고, 심할 경우에는 어지러움과 숨찬 느낌이 듭니다. 만성 심방 세동에서는 비슷한 증상을 경험할 수도 있고 전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심방 세동 때문에 심박출량(심장이 수축할 때 내보내는 혈액의 양)이 줄어들어 호흡 곤란, 무기력, 피로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두 가지 요소에 의해 발생합니다. 첫째, 정상적인 상황에서 심장의 수축은 심박출량의 20~30%를 담당하지만, 심방 세동 시 심방의 수축이 없어지므로 심박출량이 줄어듭니다. 둘째, 맥박이 과도하게 빨라져 심장이 충분히 혈액을 채울 시간이 부족해짐으로써 심박출량이 감소합니다. 또한, 심방 세동은 혈전 형성을 촉진하여 뇌졸중의 주요 원인이 되는 위험 요소가 됩니다.

심방세동의 진단법

심방 세동의 진단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방법은 심전도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심장의 박동과 리듬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발작성 심방 세동을 겪는 환자의 경우, 심방 세동이 발생하는 순간에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심전도 검사로는 발견되지 않지만 심방 세동이 의심되는 경우, 홀터 모니터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심전도를 기록하거나, 1~2주간 지속적으로 심전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벤트 레코더를 통해 심방 세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심방 세동이 간헐적으로 발생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심방세동의 치료법은?

심방 세동은 전체 인구의 약 0.4%에서 2.0% 범위, 그리고 60세 이상 인구의 대략 10%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부정맥 유형입니다. 이 질환은 심장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약 30%에서 60%에게서 동반되며, 약 30%의 심방 세동 환자는 일생 동안 최소 한 번은 뇌졸중을 겪게 됩니다. 심방 세동의 치료 목적은 정상 심박을 회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약물 치료, 수술, 전극 도자 절제술 등의 방법이 적용됩니다. 대다수의 환자(약 70%)는 약물 치료를 받으나, 이는 주로 증상 완화와 부정맥에 따른 뇌졸중 위험 감소를 목표로 합니다. 약물 치료만으로는 일부 환자(약 10%)가 중풍과 같은 부작용을 겪을 수 있습니다. 심방 세동은 가볍게 여겨질 수 있으나, 불규칙한 심박에 따른 불편함, 혈역학적 문제로 인한 울혈성 심부전, 좌심방의 혈류 정체로 인한 혈전 및 색전 형성, 그 결과 발생하는 뇌졸중 및 다양한 전신 장기 색전증의 위험 등 다양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상태를 가진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사망 위험이 8배 높으며, 특히 승모판 협착증이나 관상동맥 질환 환자의 경우 생존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메이즈 술식과 같은 수술적 접근은 심방 내 회귀 회로의 전도를 차단하여 심방 세동을 통제하고, 전극 도자 절제술은 주로 폐정맥에서 발생하는 발작성 심방 세동에 대해 효과적입니다. 최근 이러한 수술 받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반응형